
[Cook&Chef = 오요리 기자] 경상북도가 전국 최초로 전통 장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광역단위 장류 브랜드 개발 착수보고회'를 15일 개최했다. 이 회의에는 지역 대표 장류업체인 안동제비원, 뚝배기식품 등 30여 명이 참석해 경북 장류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논의했다.
이번 용역은 한국 장의 맛과 기능성에 대한 세계적 관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경북 장류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4개월간 진행되어 오는 11월에 완료될 예정이다.
경상북도는 지난해 '5월 30일은 장류 먹는 날! 530 한국장 데이'를 선언했다. 경북은 장의 주원료인 콩의 생산량이 전국 2위이며, 264곳의 장류 제조업체를 보유해 장류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
착수보고회에서는 경북의 특징과 차별점을 분석하여 핵심 가치와 비전을 정립하고, 국내외 상표출원 및 브랜드 마케팅 전략 등이 발표되었다. 아울러 도내 장류 생산자들 간의 기술과 정보 공유를 통해 장류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이 주관하는 'K-미식벨트 조성사업' 관계자를 초청하여 장류, 전통주, 식품명인 등 유무형의 미식 자원을 활용한 관광 상품 개발 방향에 대한 특강도 진행되었다.
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전통 장이 한국을 대표하는 식품이자 문화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며 “경북만의 장류 공동브랜드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홍보 전략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농업기술원은 경북 장의 품질관리 체계 구축과 한류 등 소비 시장에 대응한 지역 대표 장류업체 육성을 목표로 '특화발효장류산업화시범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영주 만포농산, 영천 기림바이오 등 6개소를 추진 중이다.
본 저작물은 '경상북도청'에서 '2025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개방한 '경북의 장, 공동브랜드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경상북도청(https://www.gb.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