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먹거리 지역으로 유명한 디종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블랑제리 디종, 9.2평의 면적 안에 공장과 매장을 배치하여 최소한의 공간에 최대한의 효율을 끌어내었다.
writer_윤남기/photo_조용수
Delicious
유기농 식재료로 만든 천연발효빵,
블랑제리 디종(BLANGERIE DIJON)
상가 건물 1층에 10평도 안 되는 디종은 건물 벽에 커다란 천막을 씌워 로고와 주소를 넣어 언뜻 지나가면서도 눈에 잘 보이도록 하였다. 또한 입구 옆 벽면에는 제품들이 나오는 시간을 적어두어 갓 구워진 빵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밖에서 제품이 잘 보이도록 길가에 접한 면은 모두 유리로 하였으며 장소를 차지하지 않도록 슬라이딩 도어를 달았다. 문에 들어서자마자 케이크가 있는 쇼케이스가 보이고 간판제품인 치아바타와 많이 찾는 식빵은 매장의 가장 안쪽에 배치하였다. 중앙에 있는 선반에는 디종에서만 볼 수 있는 제품들을 전략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였다. 공장과 매장의 경계도 일반 제품을 보관하는 랙을 이용하여 군더더기 없이 나누었고 높은 층고를 이용하여 상자 등 포장제품은 천장에 선반을 달아서 보관하였다. 유기농 밀가루를 사용한다는 모토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밀가루 포대는 매장 바닥에 디스플레이처럼 배치하여 고객의 신뢰감을 높였다.
제품은 치아바타를 비롯하여 캄파뉴, 바게트 등 린(lean)한 제품이 위주이며 크로아상이나 뺑 오 쇼콜라그리고 간간히 전병이나 구리볼도 보인다. 특히 중앙 선반에 있는 제품 중 눈에 띄는 것이 바로 프리첼이다. 길게 성형한 프리첼에 가운데를 갈라서 버터를 넣었는데 한 번 먹으면 그 맛을 잊을 수가 없다. 쫄깃한 프리첼 반죽에 고소한 버터 향과 마지막에 느껴지는 소금 맛이 정점을 찍는다. 오너 셰프의 자존심을 걸고 만든다는 뺑 콘플레도 건강한 맛이 그대로 느껴진다. 케이크는 높이가 있어 일반 제과점 케이크보다 볼륨감이 커 보인다.
디종 오너 셰프 한덕호 씨는 원래 SPC그룹에서 학원 강사로 10여 년간 일하면서 일본, 프랑스 등 다양한 곳을 다니면서 견문을 넓혔다. 비주얼에 있는 다양한 천연발효 빵의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9.2평으로 면적이 좁은 대신 인테리어 비용도 약 3,000만원으로 적게 들었다. 현재 아르바이트 포함하여 공장에 3명, 매장 2명으로 운영하고 있고 평균 재료비는 34% 정도이다. 소자본 투자로 효율적인 매장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디종>
1. 점포명 : 디종(Dijon)
2. 주소, 전화번호, 대중교통 및 주차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31번지 106호 / 031-264-0826 / 15번, 15-1번 버스 / 주차장은 없음
3. 설립일 : 2015. 10. 7
4. 영업시간 : 09:00~22:00
5. 점포규모 : 9.2평
한덕호 오너 셰프
지금의 입지에 매장을 오픈한 이유
자본금이 없어 최소한의 인건비와 비용으로 창업을 하게 되었다. 유기농 제품을 사용하면서 어느 정도 가격대를 형성해도 매출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을 찾다보니 매장을 오픈하게 된 곳이 바로 수지구 신봉동이었다. 마침 권리금이 없는 매장이 나와서 운 좋게 계약했다.
어떠한 컨셉으로 매장을 오픈하였나?
원래는 식빵전문점을 생각하였었다. 왜냐하면 업소의 규모가 작아 효과적인 방법으로 운영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역적 특성 상 단품만을 팔기에는 위험이 있어 세미 건강빵으로 다시 컨셉을 잡았다.
주변의 경쟁업체와 어떠한 노하우로 극복했는지
현재 오픈 후 3개월로 다행히도 ‘맛있는 빵집’이라는 좋은 소문으로 자리 잡은 것 같다. 처음에는 건강빵 위주로 계획했으나 오픈 후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으로 세미 건강빵으로 바꿨다. 또 주변에 있던 기존 업체에서 없는 제품 위주로 만들었다.
주요 고객층과 타켓을 위한 경영전략은 무엇인가?
생각보다 나이가 있으신 고객층이 많다. 특히 젊은 사람들은 간판제품 등 몇 개 구입하는데 비해 나이 드신 분들은 오히려 다양하게 더 많이 구입해 가신다. 향수를 부르는 제품인 전병과 구리볼이 깜짝 놀랄 정도로 잘 팔리는 것도 그 이유이다.
처음 오픈했을 때와 현재 달라진 점
되도록 일을 편하게 하고자 한다. 처음에 오픈했을 때는 이것도 만들어보고 싶고 저것도 만들어보고 싶어서 종류도 많고 일도 힘들었다. 지금 사용하는 반죽은 모두 8가지이다. 최소한 노동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만들도록 연구 중이다.
주변의 경쟁업체와 어떠한 노하우로 극복했는지
현재 오픈 후 3개월로 다행히도 ‘맛있는 빵집’이라는 좋은 소문으로 자리 잡은 것 같다. 처음에는 건강빵 위주로 계획했으나 오픈 후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으로 세미 건강빵으로 바꿨다. 또 주변에 있던 기존 업체에서 없는 제품 위주로 만들었다.
다시 오픈한다면 꼭 하고 싶은 것
면적이 좁아서 베이커리 카페를 못 한 것이 가장 아쉽다. 그리고 자본이 없어서 좋은 오븐을 못 산 것도 후회된다. 다음에 오픈한다면 좋은 오븐을 둔 베이커리 카페를 하고 싶다.
앞으로의 계획
시금치, 감자, 고구마 등 사계절 야채 등을 이용한 다양한 빵을 만들고 싶다. 특히 요리하는 것을 좋아하여 요리와 빵을 접목한 제품을 만들려고 한다. 앞으로 디종의 인지도가 올라가면 르방종, 탕종, 액종, 호밀종, 노면종 등 더욱 다양한 천연발효 빵을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