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마른김·구운김·조미김) 세계 규격화 추진
국제 규격 강화…소비자 한국 식품 안전하게 구매
[Cook&Chef = 홍지우 기자] 김과 김치처럼 한국인의 식탁에서 익숙한 음식들이 이제 세계 식품 기준을 이끄는 주인공이 되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8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총회에서 한국이 중요한 성과를 잇달아 거두며 K-푸드의 국제적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해양수산부(장관 정재수)는 이번 총회에서 김치 세계규격 개정, 김 제품 세계규격화 착수, 가공과채류분과위원회 의장국 선출 등의 핵심성과를 거뒀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한국이 전통식품 분야에서 국제 규격을 직접 주도하는 나라로 자리매김했다는 의미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김치 원료명에 ‘Kimchi cabbage’가 공식 등재된 점이다. 한국이 제안한 대로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명칭에 이 표현이 추가되며 전 세계가 한국식 김치 제조 기준을 인정한 셈이다. 앞으로 해외 소비자도 제품 라벨에서 Kimchi cabbage라는 명칭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한국식 김치에 대한 인식과 브랜드 가치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 김 역시 세계 규격화의 첫 단계에 진입했다. 코덱스 총회는 한국이 요청한 김 제품(마른김·구운김·조미김) 세계 규격 제정 작업을 공식 승인했다. 지금까지 김은 아시아 지역 규격만 갖고 있었지만, 앞으로는 전 세계에 통용되는 기준으로 확대된다. 최근 김이 해외에서 슈퍼푸드로 떠오르며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결정은 한국 김 산업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수출액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약 6억4800만 달러였던 수출액은 2023년 7억9300만 달러로 뛰었고 올해는 9억 97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김 수출 시대를 안정적으로 열기 위한 필수 조건이 바로 이번 세계 규격화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이번 총회에서 가공과채류분과위원회(CCPFV) 의장국으로 선출됐다. 이는 김치, 고추장, 인삼, 곶감처럼 한국 전통 가공식품의 국제 규격 논의를 한국이 직접 이끈다는 의미다.
가공과채류분과 전임 의장국인 미국 대표단 수석대표 캔 로워리는 “대한민국은 이미 코덱스 분과위원회를 주최한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가공과채류분과 의장국 선출에 대해 축하를 표했다.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변화도 분명해졌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큰 변화는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K-푸드를 만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국제 규격이 마련되면 제조 기준과 표시 기준이 명확해져 세계 어디서든 균일한 품질의 한국 식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해외에서도 안전하고 규격화된 한국산 김·김치 제품을 확인할 수 있고 수출이 늘어나면 국내 소비자들도 더 다양한 K-푸드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일상적으로 즐기는 김, 김치, 고추장 등 한국 식품이 국제 기준을 이끌게 되는 것은 소비자에게 품질 보증과 다름없는 효과를 준다.
정부는 “이번 코덱스 총회 성과를 바탕으로 K-푸드가 전 세계에서 더욱 신뢰받고 활발하게 교역될 수 있도록 국내외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가공과채류분과 활성화와 김 세계규격 작업도 차질 없이 진행돼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