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월 10kg, 현미·백미 자유롭게 조합 가능
조리 편의 제품 확산으로 소비자 접근성 강화
[Cook&Chef = 홍지우 기자] 최근 고령층과 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혈당 관리와 체중 조절, 장 건강 등을 위해 현미를 찾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복지용 현미 공급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국민(수요자) 중심 행정서비스 제공, 취약계층의 건강 증진과 먹거리 복지 강화 등을 위해 올해 12월부터 내년 5월까지 6개월간 ‘복지용 현미 공급 시범사업’을 대전 서구, 대전 중구, 세종시 3개 지역에서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 2002년부터 백미로만 공급 중인 복지용 쌀을 다양한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 요구 등을 반영해 백미 또는 현미 중 선택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백미보다 식이섬유·비타민·미네랄이 풍부한 현미를 원하는 소비자가 많아져 향후 공공 식재료에서도 건강 선택권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복지용 현미 신청은 오는 12월 1일부터 매월 10일까지 시범사업 지역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복복지센터 사회복지 담당부서에 신청하면 지원받을 수 있고 양곡대금 납부, 배송 방법 등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다.
현미는 보통 백미보다 섭취량이 적고 산폐·변질 우려가 높아 5kg 소포장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신청 대상자는 1인당 월 공급물량 10kg 단위로 현미와 백미를 조합해 구입이 가능하다. 선택 가능한 조합은 현미 10kg, 현미와 백미 각각 5kg씩, 또는 백미 10kg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현미 수요, 실제 구매 패턴, 물류 안정성, 만족도 등을 종합 평가해 향후 전국 확대와 더 다양한 품종·제품 개발로 연결할 가능성도 검토할 계획이다.
현미는 백미보다 조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우려도 있으나 최근에는 발아현미, 즉석밥, 냉동 기능성 제품 등 다양한 조리 편의 상품이 확산되고 있어 소비자 접근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이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소비자 선택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복지용 현미 공급 시범사업은 수요자들에게 건강한 먹거리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며 “시범사업 운영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국민 중심의 행정서비스 지원에 차질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