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려만두 전체 |
그러나 고려와 송나라 등의 불교문헌과 문집류, 사서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 고려가 두 가지 뚜렷하게 대비되는 불교 채식만두와 왕실과 일반사회의 육식 만두문화를 가지고 있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보이는 선종 승려인 기선사(其禪師)의 혼돈(餛飩)만두에서부터 시작하여 진각국사 혜심(慧諶, 1178-1234)의 어록, 『조계진각국사어록(曺溪眞覺國寺語錄)』에 등장하는 불교 채식만두인 산도(酸饀) 만두의 전통을 이미 가지고 있었고 당시 무신 권력자인 최이(崔怡)가 이규보에게 보낸 ‘혼돈(餛飩)만두’의 민간 만두 전통을 이미 가지고 있었다.
![]() |
▲ 고려만두 소 |
학술행사의 2부 순서로는 고려만두 실물전시와 시식을 하는 자리를 따로 마련하였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을 기대한다.
![]() |
▲ 춘견 |
동방문화대학원 제 5회 음식문화학 학술대회
* 일시 : 2022년 10월 13일 목요일 오후 1시-6시
* 장소: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5층 강당
* 주최: 동방문화대 음식문화학 전공 & 음식학연구회
* 행사 순서
1부: (사회 / 공만식교수, 1시-4시)
1. 고려시대 만두문화의 두 흐름 : 불교사찰 채식만두와 왕실, 일반사회의 육식만두
(공만식 교수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 이야기 속 두부와 국수 : <유림외사>에 그려지는 18세기 중국의 음식문화와 계층의 문제
(김수현박사: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3. 한국불교 선원청규와 수륙재의문에 보이는 국수와 만두
(김순이 박사 :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2부 : 고려만두 전시와 시식(4시-6시)
- 전시 : 4층 B402 강의실, 고려 불교 채식만두와 왕실&일반사회 육식만두 전시
- 전시 만두 종류
1. 불교 채식만두
칠보산함(酸餡), 무피산도(酸饀), 채식혼돈(餛飩), 일반산함(酸餡), 콩산함(酸餡), 징사탕산도(酸饀)
2. 왕실&민간 육식만두
고려왕실 쌍하(雙下), 쌍화점의 쌍화(雙花), 원 천석의 돼지고기만두(豚饅頭), 최이의 육식혼돈(餛飩)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