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종 ‘새느’의 갓. 사진 = 경상남도
[Cook&Chef = 허세인 기자] 제철 느타리버섯을 신선하게 식탁에 올릴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경남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최근 ‘새느’의 품종보호 출원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보급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신품종은 느타리의 풍미와 새송이의 조직감, 두 버섯의 장점을 한데 모은 융합 버섯으로, 이름인 ‘새느’는 ‘새송이’와 ‘느타리’를 결합해 지었다.
새송이버섯(큰느타리버섯)은 1990년대 후반 국내에 도입돼 경남농업기술원이 이름을 붙였으며, 전국 생산량의 약 28%(2023년 기준)가 경남에서 나온다. 느타리버섯은 표고·양송이와 함께 대표적인 식용버섯으로, 두 버섯 모두 영양가가 높고 국내 버섯 시장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느타리버섯은 오래전부터 사랑 받아온 식재료지만, 포장과 유통 과정에서 갓이 쉽게 깨지고 저장성이 소비자에게 온전히 전달하기 어려웠다. 반면 새송이버섯은 모양과 품질은 우수하지만, 재배 과정에서 손이 많이 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경남농기원은 두 버섯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융합 육종을 진행했다. 재배기간을 기존 18일에서 10일로 줄이고, 농가의 생산비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높인 ‘새느’ 품종을 완성했다.
‘새느’는 느타리버섯처럼 다발 형태로 자라 생산성이 높으며, 새송이의 쫄깃한 식감이 조화를 이루어, 소비자들이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버섯 요리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근 경남농업기술원 박사는 “새느는 느타리버섯류 간 융합을 통해 얻은 새로운 식용버섯으로, 새로운 버섯 소비시장 개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새느 품종을 농가에 빠르게 보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