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폭락–가공식품은 상승–외식비 부담은 여전” 이중고 겪는 소비자

이경엽 기자

cooknchefnews@hnf.or.kr | 2025-06-20 12:20:20

한국은행, 5월 생산자물가지수 발표...한달 새 농산물 10%↓, 외식비 3%↑

이미지 생성: ChatGPT (OpenAI) 제공 / Cook&Chef 제작

[Cook&Chef = 이경엽 기자] 6월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5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농산물 가격이 전달보다 10.1%나 하락했다. 채소류 중심의 급락세로, 특히 참외(-53.1%), 양파(-42.7%) 등 일부 품목은 도매시장 기준 가격이 반 토막 이상 떨어졌다. 농림수산품 전체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4.4% 하락했고, 수산물 역시 -1.4%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 음식료품은 오히려 0.6% 상승했고,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가격은 0.4% 상승해 소비자 부담은 여전한 상황이다.

이 같은 통계는 생산단계에서는 가격이 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소비자가 마주하는 식탁 위의 물가는 전혀 줄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오히려 외식비, 간편식, 제과 등 소비자 접점에서의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 있어, 물가 하락 효과가 체감되지 않는 구조적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생산자물가는 하락, 그러나 장바구니는 가볍지 않다

농산물 도매가격이 크게 하락했지만, 실제 장을 보는 소비자는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유통 및 가공 과정에서 가격 하락분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냉동만두(17.3%), 맛김(6.4%), 건강기능식품(1.9%) 등 주요 가공식품 가격은 꾸준히 상승 중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공산품 항목 중 음식료품은 2025년 5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한 상태다.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형태의 상품이 아닌, 중간재나 가공품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가격 하락의 효과가 상쇄되거나, 오히려 프리미엄 마케팅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1차 농산물은 생산자에게는 저가로 판매되고, 소비자에게는 고가로 제공되는 이중 가격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외식비 상승세, 소비자 체감물가 왜곡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물가도 지속 상승하고 있다. 5월 기준 한식 외식 가격은 2.2% 상승했고, 제과점은 6.2%, 호텔은 3.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소비자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프랜차이즈 제과점이나 캐주얼 다이닝 매장은 재료비 인상과 무관하게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이는 원가에 대한 투명한 공개 없이 '전반적 비용 상승'이라는 명분 하에 이뤄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외식은 더 이상 저렴하거나 합리적인 선택이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무거운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다. 중산층 이하 가구의 외식 횟수는 줄어들고 있으며, 가정 간편식(HMR) 수요는 증가했지만, 이 또한 가격 상승과 품질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불균형 전가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농가는 수익성을 잃고 있고, 소비자는 가격 부담을 떠안고 있다. 유통, 가공, 외식 등 중간 유통단계에서 가격 마진이 집중되고 있는 현 구조는 지속가능하지 않다. 생산자물가지수(PPI)가 하락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상승 또는 정체를 반복하면서, 정부 통계와 체감 사이의 간극이 커지고 있다.

결국 식탁 위의 물가는 중간단계에서의 가격 구조 조정 없이는 실질적으로 낮아지기 어렵다. 공급망 구조 전반에 대한 점검과 투명한 원가 공개, 합리적 가격전가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소비자만 손해보고, 생산자만 어려워지는 현재 구조는 음식문화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고 있다.

소비자 보호 정책, 실효성 재점검 시급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김가람 간사는 "원자재 가격은 계속 떨어지는데, 한 번 올라간 음식값이나 가공식품 가격은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 현실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유통과 물류에서의 시차, 기후 변수, 국제 정세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 하락이 즉각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정부도 유류세 인하 등 지원책을 쓰고 있고, 식품 업계에도 소비자 중심의 가격 정책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격 인하가 체감되지 않는 것은 개선이 필요하다" 며 "유통·외식 기업들도 연예인 광고나 마케팅 비용 증가에 기대기보다,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가격 책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공급망 안정화와 가격 인상 폭 최소화가 결국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열쇠이며, 식문화의 건강한 생태계를 위한 의무라고 생각라고 강조했다.

‘누가 가격을 결정하는가’, ‘그 가격은 정당한가’라는 질문에 외식업계와 가공식품 산업은 응답할 책임이 있다. 소비자가 합리적인 가격에 안전한 식품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 그것이 지속 가능한 식문화의 출발점이다.

[ⓒ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